Categories: SERVER

Amazon AWS EC2서버 세팅 – part3

Amazon AWS EC2서버 신청 절차 및 서버세팅 및 접속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번째. EC2서버 웹서버(APM) 세팅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1. 패키지의 원할한 설치를 위해 root권한을 획득합니다.

2. 먼저 zmodem 파일 업로드를 위하여 lrzsz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yum install lrzsz

3-1. ftp접속을 위해 vsftpd를 설치합니다.
yum install vsftpd

3-2. 설치가 잘되었는지 데몬을 시작해 봅니다.

3-3. ftp설정을 위해 아래와 같이 설정파일을 열어봅니다.

3-4. 접속 권한을 설정

3-5. ascii 업다운 설정

3-6. 계정외 디렉토리 열람및 권한 설정

3-7. ls 명령 사용설정

3-8. 클라이언트 접속갯수및 IP당 접속갯수 설정

3-9. 설정이 마무리 되었다면 접속해볼 테스트계정을 생성하고 데몬을 재시작합니다.
ftp접속을 해보아도 500에러가 뜨는것을 볼수있습니다.

3-10. setsebool -P ftp_home_dir=1 명령을 이용하여 home폴더를 매칭해줍니다.
데몬재시작후 ftp접속이 잘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11. 파일질라로 ftp접속이 원할한지 다시한번 테스트 합니다.
파일 업로드도 해보고요~

3-12. 서버에서 파일이 잘 올라왔는지도 최종적으로 확인해줍니다.

4. 웹서버를 돌리기 위해 httpd를 설치합니다.
yum install httpd

4-1.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4-2. 아파치 start 후 ps-ef명령을 통하여 프로세스가 원할한지 확인해줍니다.

4-3. httpd 프로세스가 올라와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DataBase를 활용하기 위하여 mysql을 설치합니다.
yum install mysql mysql-server

5-1.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5-2. mysql 환경설정을 엽니다.

5-3. character-set을 설정합니다.

5-4. 설정완료후 mysqld를 재시작합니다.

6. php를 설치합니다.
yum install php php-*

6-1.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6-2. php.ini 환경설정을 엽니다.

6-3. 편한? 코딩을 위해 short_open_tag 를 ON으로 설정

6-4. 타임존을 Asia/Seoul로 변경

6-5. 아파치 재시작

7. 테스트계정에 웹서버가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index파일을 생성합니다.

8. php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phpinfo() 명령을 이용하여 세팅된 내역을 확인합니다.

9. httpd.conf파일에서 php로 인식가능한 확장자들을 연결해줍니다.

10. 아파치 재시작 합니다.

11. 브라우져에서 phpinfo() 내용을 확인합니다.

source설치가 아닌 기본적인 rpm 설치이기 때문에 폴더 설정및 자세한 내용은 생략 되었습니다.
웹서버를 처음 구축하고자 하는분들께 도움되길 바랍니다.